네트워크란?

  • device가 서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하는 통신 망
  • '통신'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장 포괄적인 용어다
  •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도 네트워크의 종류 중 하나다. 인터넷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, 인트라넷, 기기 간 랜선, 라디오나 무전기의 주파수 직접 연결 등도 모두 네트워크다.  

네트워크의 크기에 따른 분류

  • 네트워크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면 LAN, WAN, MAN PAN 등으로 분류한다.
  • LAN(Local Area Network):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통신 망
  • WAN(Wide Area Network): 가까운 지역끼리 묶인 LAN과 LAN을 하나로 묶은것.
  • MAN(Metropolitan Area Network): 
  • PAN(Personal Area Network): 예시로는 bluetooth, 기기 간 랜선 연결 등이 있다.

 

네트워크 연결 형태에 따른 분류 

  • Star형: 중앙 장비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형태
  • Mesh형: 여러 노드들이 서로 그물처럼 연결된 형태
  • Tree형: 마치 나무의 가지처럼 계층 구조로 연결된 형태
  • 기타: 링형, 버스형, 혼합형 등등

Star 형 예시
Mesh 형 예시

네트워크의 통신 방식

  • 유니캐스트: 가장 보편적인 사용. 1:1 로 통신
  • 멀티캐스트: 1:N 방식으로 통신
  • 브로드캐스트: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대상과 통신

 

네트워크 프로토콜

프로토콜의 정의

  • 어떤 네트워크에서 노드와 노드가 통신할 때,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이 바로 프로토콜이다.
  • 예를 들어 우체국에서 택배를 주고 받을 때는 보내는 사람 연락처, 받는사람 주소 등이 포함된 송장 양식을 따라야 하는 것처럼,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양식을 따라야한다.

프로토콜의 종류

  • 어떤 통신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서 사용하는 양식이 모두 다르다. 각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은 프로토콜(양식)들이 존재한다.
  • 가까운곳과 연락할 때: 이더넷이라는 프로토콜 사용 / MAC주소 사용
  • 멀리있는곳과 연락할 때: ICMP, IPv4, IPv6, ARP 등의 프로토콜 사용 / IP주소 사용
  • 특정 프로그램으로 연락할 때: TCP, UDP 프로토콜 사용 / 포트주소(포트번호라고 주로 부름) 사용.
    예를들어 영수네 집에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 까지는 IP주소로 이동했지만, 해당 메세지를 카톡으로 보낼지 페이스북으로 보낼지는 포트주소가 결정된다.
  • 실제 통신할 때는 어느 하나의 양식을 쓰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의 양식을 합해서 통신하는 경우도 많음.

 

참고

  • 우리 집에서 구글 DNS 서버까지 통신을 어떻게 하는지 추적해보자

  • 위 그림에서 첫째줄에 tracert는 ip를 추적하는 프로그램이고, 8.8.8.8은 구글의 DNS서버 IP주소다.
  • 1번에 있는 192.168.0.1 은 우리집의 iptime 주소
  • 2번은 통신은 가능하지만 ip 추적을 차단해 두어서 ip 주소는 보이지 않는다.
  • 3번~9번은 우리집에서 구글DNS서버까지 가는길에 있는 통신 허브들이다.
  • 10번 구글 DNS서버 도착.

+ Recent posts